학업 성취도 평가 제도에 대하여 이해의 도움을 드리고자 오늘은 상문고 예비학부모님들을 위해 학업 성취도 평가에 대해
설명해드리려고합니다.
현재 입시의 시스템의 큰 틀입니다.
1.수시전형- 학생부교과(교과+수능)
/종합(복합)/
특기자/(교과_비교과-면접)
논술전형( 논술+ 교과+수능최저)
2. 정시-수능
출처 입력

이러한 입시베이스에서 현재 학업성취도 시스템이 적용되게 되면 큰틀에서 변동이 발생할 예정인데요
이 성취도 시스템에 대해서 다뤄보려고합니다.
- 평가 결과의 분석 파악하기 ( 이해도 및 발달 점검)
2.평가 도구의 분석 ( 문항 점검)
3.평가의 기준
합업 성취도 평가 적용기준
1. 평가 결과의 분석을 통해 이해도 및 발달 점검
2. 평가도구 ( 양호도 점검)
오답이있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문항 점검
평가문항의 타당성 검사
개선 방향성 체크
3.전반적 성취도와 이에 대한 평가 기준 성립
출처 입력
우선 학업 성취도 분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요?
- 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해 수준이나 교수방법을 확인하고 + 이를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체크합니다.
2. 교수 학습에서 다루어진 성취수준이 문항에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수준에 적합성을 판단합니다
만약 특정과목의 득점 분포에서 차이가 클 경우 이에 대하여 배경지식의 보충 및 동기 유발등을
보완하여 적용합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대부분 1과목에 2명의 교사분이 수업을 진행하기에 지도 방식의 차이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여기서 성적이 미비한 학생들위한 학습전략 세팅을 들어갑니다.
이 과정에서 성취수준을 A/ B/C/D/E등으로 나누어 학생들 중 성취수준이 낮은 C/D/E의 학생들의 경우
이에 대한 교습법등이나 학습동기등을 보완하는 작업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입니다.

성취 평가제에서
학생들의 성취 정도와 성취 수준의 특성을
파악하는것이
주요한 관건이 될 예정인데요.
실제 이 시스템의 맹점은 강남의 경우 교육의 수준이 상향 평준화가 되어있는 강남권의 고등학교의 경우
성취의 정도의 기준점이 다른 타지역에 비해 높을수 밖에 없기에
이러한 문항들이나 비율을 가르는 문제들의 세팅이 다른 학교에 비해 난이도가 높아질수 밖에없는
시스템이라고 판단됩니다.
위 시스템에서는
1) 정답률이 현저히 낮은 20%미만의 문항에 대해서는 적절도를 파악하고
2) 정답률이 90프로이상인 문항에서는 출제가 직접적인 문제가 없었는지 등을 검토하게 됩니다.
아직까지 시스템이 구축이 되려면 많은 시행착오가 많이 필요할 수 있기에
학교별 유불리를 입시의 변화에 대비하여 세팅해야 된다고 판단됩니다.
댓글